domsam - IT 기술 블로그

정규화(Normalization), 정규형(Normal Form) 본문

SQL/정규형

정규화(Normalization), 정규형(Normal Form)

domsam 2025. 2. 19. 17:13
반응형

1. 정규화와 정규형

정규화는 이상현상(아노말리)이 발생하지 않는 릴레이션을 만들어가는 과정이고, 정규형은 정규화의 결과물이다.

 

2. 정규형 종류

  • 제1정규형 (원소값)
  • 제2정규형 (함수 종속)
  • 제3정규형 (함수 종속)
  • BC정규형 (함수 종속)
  • 제4정규형 (다가 종속)
  • 제5정규형 (조인 종속)

 

제1~3 정규형이 정규화 대상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나머지 정규형도 중요하다. 몇 정규형을 구분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몇 정규형이냐를 알려고 정규화를 하지는 않는다. 중요한 것은 중복이 발생하지 않고 아노말리(이상현상)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수 종속에 근거해서 모델링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2정규형, 제3정규형, BC정규형은 함수 종속 개념을 기반으로 수행되며 제4정규형은 다가 종속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조인 종속이 존재하면 제5정규화 대상이다.

'SQL > 정규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BC정규형 (Boyce-Codd Normal Form)  (0) 2025.02.21
제3정규형 (Third Normal Form)  (0) 2025.02.21
제2정규형 (Second Normal Form)  (0) 2025.02.21
제1정규형 (First Normal Form)  (0) 2025.02.20
함수 종속  (0)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