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sam - IT 기술 블로그

제5정규형 (Fifth Normal Form) 본문

SQL/정규형

제5정규형 (Fifth Normal Form)

domsam 2025. 2. 25. 18:04
반응형

제5정규형은 조인 종속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조인 종속이 존재하면 제5정규화 대상이다. 

그림(1) 조인 종속이 존재하는 제5정규형 위반 릴레이션

그림(1)은 조인 종속이 존재하는 릴레이션이다. 제4정규형을 설명할 때 제4정규형 그림(1) [릴레이션1]과 유사하지만 차이점이 있다. 제4정규형은 기술과 언어 속성이 독립적이었지만 그림(1) 은 연관성이 있다는 점이다. 사원과 기술, 언어 속성이 관계가 있다는 업무 요건이 존재한다. 

그림(2) 제5정규형 릴레이션

그림(1) 릴레이션을 그림(2)과 같이 분해될 수 있다. 이렇게 세 개의 릴레이션으로 분해하고 나서 조인하면 다시 그림(1) 릴레이션처럼 표시할 수 있으므로 그림(1) 릴레이션은 조인 종속이 존재하는 릴레이션이며 제5정규형을 위반한 릴레이션이다. 

그림(3) 제5정규형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제4정규형 릴레이션

쉽게 말해 다가 종속이 있는데 서로 연관성이 있다면 한 엔터티에서 관리하면 안 되고 연관성 있는 수만큼 엔터티가 나와야 한다. 그림(3)은 기술 속성과 언어 속성의 연관성을 나타낼 수 없다. 즉 모델링-영어의 연관성을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제5정규형을 위배한다.

대부분 관계는 두 개의 엔터티 간의 관계지만 일부 릴레이션에서는 세 개 이상의 엔터티 간 관계가 발생한다. 세 개의 엔터티 관계가 발생한 릴레이션은 일반적으로 세 개의 릴레이션으로 분해할 수 있다. 그러면 제5정규형을 만족한다.

 

그림(4) 4정규형과 5정규형

그림(4)에서 보는 것처럼 제4정규형과 제5정규형은 비슷하다. [4정규형]에서 A, B가 엔터티이고 [5정규형]에서 A, B, C가 엔터티이다. [4정규형]은 기술과 언어의 연관되지 않지만 [5정규형]은 기술과 언어가 연관 관계가 존재하므로 C엔터티가 필요하다. 그림(2) 릴레이션처럼 되는 것이다.

 

그림(5) 5정규형을 위반한 3개체 관계

제5정규형은 지나치게 이론적이며 DBMS에서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제5정규형을 모르면 안된다. 제5정규형에는 위배되지만 그림(5)와 같은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A, B, C 엔터티가 별도로 자주 사용되면 제5정규형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SQL > 정규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정규형 (Fourth Normal Form)  (0) 2025.02.21
BC정규형 (Boyce-Codd Normal Form)  (0) 2025.02.21
제3정규형 (Third Normal Form)  (0) 2025.02.21
제2정규형 (Second Normal Form)  (0) 2025.02.21
제1정규형 (First Normal Form)  (0) 2025.02.20